4학년 처음으로 경제 영역을 배우게 된다. 경제 교육의 목적을 살펴보고, 기본 산업의 분류, 소득의 순환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고 다양한 경제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어려운 경제 내용을 친근하게 배울 수 있도록 해야겠다.
경제 교육의 성격과 목적 살펴보기
사회과 교육이 민주 시민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고 할 때, 사회과 내에서의 경제 교육 역시 그러한 교육 목표를 근간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사회 현상 중 많은 부분이 경제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올바른 경제 교육은 사회과의 중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거의 모든 정부의 정책이 경제 문제와 관련을 맺고 있어서 민주 시민으로서 정책에 대한 자신의 의사 표시를 하기 위해서는 경제 교육이 필요하며, 개인의 관점에서도 합리적인 경제활동을 영위하기 위해서 경제 교육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바나스쟈크는 경제 교육은 시민의 그 내용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하며, 단순히 경제적 지식보다는 경제 현상을 추론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메스는 학교 경제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하게 될 때 사회 구성원으로서 그들이 접하게 되는 주요 경제 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관한 합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 개발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도근은 학교에서의 경제 교육은 학문 자체를 익히고 배우는 데 근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경제 현상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원리와 그 상호 관련성을 깨닫고, 그 위에서 유능한 민주 시만의 자질을 양성하여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있다고 보고 학교 경제 교육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경제 현상들을 지배하는 기본 원리를 습득하는 것이다. 둘째, 일상생활에서의 경제 문제의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지식은 단순한 지식 자체만으로 무의미하다. 어떤 문제에 적용될 때 비로소 의미를 갖게 된다. 따라서 경제 교육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새로운 사태에 당면하여 사회 과학적 지식을 적용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경제 발전에 참여하여 복지 사회 건설에 이바지하도록 한느 것이다 이와 같은 경제 교육의 목적은 곧 경제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교육 내용이 경제 관련 개념과 원리 및 이들 지식을 적용하고 응용하는 지적 기능임을 시사한다.
산업의 분류 1차, 2차, 3차 산업
우리 생활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것을 산업이라고 한다. 우리 생활에 필요한 물건이 다양한 만큼 산업의 종료도 다양한다. 다양한 사업들은 서로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준에 따라 나눌 수 있다. 클라크는 생산되는 재화와 용역의 종료에 따라 산업을 1차, 2차, 3차 산업으로 나누었다.
- 1차 산업
자연을 이용해서 생산하는 활동이나. 들을 이용한 산업인 농업과 축산업, 산을 이용한 산업인 임업, 바다를 이용한 산업인 수산업이 있다.
- 2차 산업
1차 산업으로 생산된 생산물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가치와 쓸모가 많다. 하지만 우리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을 자연에서 다 얻을 수는 없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이 가진 기술로 새로운 재화를 만드는데, 이런 생산 활동을 2차 산업이라고 한다. 건물을 짓거나 도로와 공원 등을 만드는 건축업, 1차 산업에서 생산된 원료를 공장에서 가공해서 새로운 재화를 생산하는 공업 등이 있다. 공업은 생산되는 재화의 종류, 공장의 규모, 필요한 기술의 정도 등에 따라 가내 수공업, 경공업, 중화학 공업, 첨단 산업으로 나뉜다. 생산되는 재화의 종류가 많아서 어떤 재화를 생산하느냐에 따라 공업은 여러 가지로 나뉜다.
- 3차 산업
직접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을 돕거나 자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은 서비스업이라고 한다. 서비스업은 제품을 생산한느 1차 산업이나. 2차 산업과 구별 지어 3차 산업이라고 한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이 하는 일이 전문화되고 세분화되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해지므로 3차 산업을 그 사회에서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6차 산업과 소득의 순환 알아보기
최근에는 1.5차 산업, 2.5차 산업, 6차 산업 등의 개념도 등장했다. 1.5차 산업이란 1차 선업과 2차 산업의 중간 성격을 띤 산업으로 농수산물을 가공하는 가공업 등이 그 예이다. 2.5차 산업은 제조겁의 제품과 서비스를 결함 하여 2차와 3차 산업 사이의 연계성을 높여 경쟁력을 확보하는 새로운 산업을 말한다.
6차 산업이란 1차 산업과 2차 산업인 제조업, 그리고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이 복합된 산업을 말한다.
예를 들어 1차 산업인 어업, 2차 산업인 해산물 가공, 3차 산업인 식당을 모두 한 주체가 실현하는 것이 6차 산업에 해당한다. 이 경우 각 산업이 단순하게 결합한 것이 아니라 유기적이고 종합적으로 융합되어야 가장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농업의 6차 산업화는 농촌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수입 농산물의 개방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와 같은 촌락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등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농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서비스를 결합하여 도시 지역에는 알맞은 가격에 안전하고 신선한 먹을거리를 공급하고 촌락 지역에는 일자리 창출과 소득을 증대하여 결국에는 지역을 활성화하기 때문이다.
- 소득의 순환
대부분 사람은 일은 하여 소득, 즉 돈을 번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 소득을 가지고 자신이 원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한다. 이 재화나 서브스는 누가, 왜 생산할까? 기업이 돈을 벌기 위해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파는 것이다. 그러면 기업은 재화나 서비스를 파아서 번 돈을 어디에 쓸까? 기업은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서 사용했던 자본을 사거나 일을 한 사람들에게 임금을 주는 데 돈을 쓴다. 그렇게 일을 하고 소득을 번 사람은 다시 자신이 원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사는 데 돈을 쓴다. 마치 놀이공원에 있는 회전목마가 계속 독고 도는 것처럼 경제에서도 재화나 서비스가 돌고 있으며 돈도 돌고 돈다. 이런 모습을 소득의 순환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소비자로서 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생산 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이 원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있다. 이처럼 경제에서는 소비만 하는 사람도 없고 생산만 하는 사람도 없다. 사람들은 소비활동도 하고 생산 활동도 한다.
처음 배우게 되는 경제 활동의 생산과 소비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알게 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해야 한다. 경제를 익숙하게 알아야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